::퍼옴(scrap):: 125

[김준기의 사회예술 비평](1) 프롤로그 - 사회와 예술의 지형도 그리기 김준기 | 미술평론가

[김준기의 사회예술 비평](1) 프롤로그 - 사회와 예술의 지형도 그리기김준기 | 미술평론가댓글(2)twitterfacebookband폰트 크게하기폰트 작게하기프린트복사하기ㆍ예술비평, 예술을 넘어 ‘사회의 장’으로 확장 멀게만 느껴지던 예술이 어느덧 우리 삶 속에 친근하게 다가서고 있다. 예술은 ..

사물과 가구의 끊임없는 모호함을 이야기하는 작가 이광호

http://www.kwangholee.com/ 어떤 주제로 작업을 하고 계신가요? 저는 대단한 영감을 가지고 작업을 하는 사람은 아닌 것 같아요. 어떤 재료를 보고 ‘이 재료로 뭔가를 만들어보면 어떨까’해서 작업이시작됐던 적이 더 많아요. 재료 상가를 돌아다니거나 예전부터 항상 써보고 싶었던 소재를 ..

[김준기의 사회예술 비평](2) 장소의 정치, 공공예술

[김준기의 사회예술 비평](2) 장소의 정치, 공공예술김준기 | 미술평론가 ㆍ광장에 들어선 ‘문화정치’예술은 장소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 장소는 시간과 공간의 합이다. 예술은 시간과 공간의 축선 위에 존재한다. 동시에 예술은 그 시간과 공간의 축선을 벗어나 시공을 초월한 ..

[크리틱] 누가 ‘창조’를 명령하는가 / 문강형준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창조’는 하나의 덕목이자 명령이 되었다. 규제라는 “암 덩어리”를 없애면서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대통령, 인문학을 통해 창조적 인재가 되라고 역설하는 신세계 그룹, 개인의 창조성으로 서바이벌 경쟁을 펼치는 <아트 스타 코리아>는 한국 사회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