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미술·벽화::/12' 시민주체 프로젝트[이어서] 30

노베르그 슐츠의 '실존 공간'과 존재의 축

노베르그 슐츠(Christian Norberg-Schulz)는 공간의 개념을 인간의 실존에서 시작한다. 실존적 공간의 가장 중심에는 인간존재가 위치한다. 그 존재는 빈 공간과 환경 속에서 중심성을 구축하고 사방과 관계하는 힘을 가진다. 다이어그램에 나타난 수직의 중심축과 주변의 관계는 물리적인 성질..

[작업내용]간석4동 골목초입

집에서 작업실로 나올때 동네와 동네를 진입하는 샛길이고 지름길이다. 높은 방음벽과 4차선 도로를 마주하고 동네를 에두르는 건물 사이의 진입길이다. 계절마다 색을 달리하는 담장의 넝쿨, 나뭇잎, 그리고 나무를 받치는 흙은 이곳 공간과 시간을 구성하는 요소 중의 하나다. 구름도 ..

[작업내용]공간분석 /간석1동

간석1동 104~105 간석1동 87~88 → 동네 담장의 기능 -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을 경계짓고 개인 내지는 가족 공동체의 사생활,재산을 보호한다. - 공간의 구획과 관리를 원할하게 한다. → 담장의 형태 - 건물의 넓이에 맞추어 가로로 길며 사람 키에 견줄만큼 높다. * 특이사항 → 출입문(대문)..

[작업일지⑤]작업과 작업, 그 틈을 돌아보며 작업을 다시보다.

아파트 관리실에 붙여질 차트를 제작했다. 작업 된 색의 비율을 길다랗게 표로 표현한 것이다. 카페 주소도 넣고, 아쉬운게 한두개가 아니다. 첫째, 표본 수집이 많아야 하며, 둘째, 다양하게 수집된 표본의 비교를 통해서 대표색 지정이 이뤄져야하며 셋째, 조색을위한 도료의 특성을 익..

[작업일지 ③]청실아파트 관리사무소

시간에 맞추어 LPW 등장! 그리고 그의 페북 친구 종혁군도 등장! 아! 천군만마를 얻은 기분~ 이렇게 현장작업은 시작되었다. 작업실에서 대략적인 작업 내용을 이야기 나누고 그 외 현장에서 필요한 것들은 급구. 벽정리에 이어서, 나는 수집한 표본을 비교하여 색을 만들고, LPW와 종혁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