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5월 1일 오후 03:57 발제와 발제서식에 관한 생각 세미나에 참가하면 발제를 맡게 됩니다. 발제는 세미나에서 가장 주체적인 행위형식입니다. 발제는 자신을 교육하는 행위이자 동시에 참가한 동료들을 교육하는 행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의 집중력과 책임감으로 그 행위를 다듬어 나가는 것이 중.. ::공공미술·벽화::/13' 아카데미 모임관련 2013.05.01
네번째 모임. 발제 도시의 기억 - 자신의 주변 환경(시간-공간)을 관찰하고 그 의미를 짚어본다. - 1. 도시의 사회적 정의 다수의 사람들이 그들의 일상 활동을 좁은 경계를 벗어나서 광범하게 통합하며 살고 있는 공동체. / 위키백과 도시(都市)의 의미 + 행정, 사회적인 의미 (都 ) 도 + 경제적 의미 (市) .. ::공공미술·벽화::/13' 아카데미 모임관련 2013.04.25
세번째 모임 오늘은 세번째 모임. 지난 시간에 얘기 나온 동화(마르코스와 안토니오 할아버지)의 요약된 줄거리와 모임의 주제별 탐구 목록을 구체화해서 정리해 준 보리 누나의 수고가 빛을 발하는 오늘! 이를 필두로 자연스럽게 각자 색에 대한 기억을 이야기 나눴다. 자신의 색에대한 기호(嗜好)를.. ::공공미술·벽화::/13' 아카데미 모임관련 2013.04.23
두번째 모임 오늘은 두번째 모임.. 지난 자리에서 우린 각자의 생각을 정리해 오기로 했었다. 난 그간 모아온 자료와 생각들을 정리하여 그 요약을 얘기하였다. 정답을 내어 보이기보단 활동 중 고민이 연장되는 글였다. 그럼에도 딱딱하고 차가워 보이는 글에서 내 고민과 생각이 담겨 보이질 않았나.. ::공공미술·벽화::/13' 아카데미 모임관련 2013.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