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미술·벽화::/12' 시민주체 프로젝트[이어서]

[작업내용]공간분석 /간석1동

오 창작소 2012. 6. 21. 14:48

 

 간석1동 104~105  간석1동 87~88
 

 

 

 

 

 

 

 

 

   동네 담장의 기능  -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을 경계짓고 개인 내지는 가족 공동체의 사생활,재산을 보호한다.

                                  - 공간의 구획과 관리를 원할하게 한다.

 

  담장의 형태 - 건물의 넓이에 맞추어 가로로 길며 사람 키에 견줄만큼 높다.

 

 

 

 

 

 * 특이사항

 

  → 출입문(대문)의 기능및 역할

 

 〓 내.외부 통로의 역할이 형태(세로로 높은 사각형의 틀)  구분을 명확하게 했다고 생각한다. 

   대문 위 지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집 안과 밖의 통로 그 사이에서 시간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역할을 대문 위 지붕이 한다. 

   거주 공간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지붕과 기둥을 대신한 내,외벽이 사방으로 있다. 그러나, 출입문은 지붕을 받치는 좌,우 두 기둥으로 주거 공간이 갖추는 기본적인 요소를 포함하면서도 전체의 부분으로만 위치한다. 그 중 지붕은 자리에서 안전하고 안정되게 '잠시'있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 중에 하나다.

 공간의 외부에서 장소의 내부로 통하는 연속되는 길 위에서 '잠시' 거치는 지점이다. '잠시'동안의 시간 차이는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역할에 따른 개인적인 일상이 가족 공동체로 접속하는 지점이 된다. 이곳은 시간 차이의 마중물로 장소의 변형, 변용으로 흐른다.

 

                    

 

                                                                                                간석4동 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