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조건 고려하는` 건축가 류춘수의 명품 건축물
http://media.daum.net/v/20130817090125956
http://media.daum.net/v/20130817090125956
출처 : [미디어다음] 경제일반
글쓴이 : 조선비즈 원글보기
메모 :
건축공간의 형태는 어떻게 나오는걸까? 용도에 맞춘 컨셉으로 주변환경을 분석하고(기사에서 이야기하는 '모든 조건') 기능을 전체적 맥락에 따라서 설계로 이뤄진다고 상상하면 형태는 기능에서 나오는 결과가 나올건데.. 예술작품과의 차이점이 이 지점일 듯. 그러므로 예술가가 공간을 꾸며보겠다함은 예술의 공간화 보단 공간의 예술화에 더 치중하고 노력해야 함.
또 다른 질문. 이러한 결과로 건축된 건물은 과연, 주변과 어울리는 형태를 갖추었다고 할 수 있을까? 혹은 형태가 먼저인 건축이 과연 가능할까? 아님, (모든 조건이 고려되어) 아름답다고하는 건축은 형태와 기능이 얼마나한 비율로 감안된 설계일까? 등등..
'::퍼옴(scrap):: > 문화,사회,일반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이토코토리’로 똘똘 뭉친 편집의 나라, 일본 (0) | 2013.09.02 |
---|---|
‘주체의 고고학’은 어떻게 ‘상처입은 코기토’가 됐나? (0) | 2013.08.23 |
[고전이 즐거워!] 시적 언어의 혁명 / 줄리아 크리스테바 (0) | 2013.07.14 |
[철학자 강신주의 비상경보기]논문 표절이 반복되는 까닭 - 놀이를 노동으로 바꾸는 자본의 힘 (0) | 2013.04.02 |
당신의 글쓰기에 힌트가 있다 (0) | 201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