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미술·벽화::/10' 인천 열우물길

전신주 스토리텔링 떠올리기.

오 창작소 2010. 8. 22. 15:27
  • 전신주에대한 상상 ; 전신주는 지구의 새치머리. 지구별의 나이만큼 회색빛 전신주 기둥들은 새치머리다. 새치머리는 종류가 다양하다.
  • 욕망이라는 괴물의 도시공간에 꽂아진 이쑤시개가 전신주다. 욕망은 자본이라는 음식을 먹고 자라며 날카로운 이빨에 먹다 남겨진 자본의 찌거기를 전신주로 쑤셔된다.
  •  전신주에대한 추억 ; 우리 어머니는 전신주에대한 추억을 싸이렌으로 회상했다. 야간 통행금지라는 제도는 사이렌 소리로 과거 우리나라 현실을 말해주는 대표적인 이미지로 우리 부모님 세대의 추억아닌 추억으로 자리잡았다. 전신주와 싸이렌? 왜? 우리 어머니는 전신주를 생각하며 하필, 야간이라는 시간대를 떠올렸을까? 다시한번 면밀히 물어봐야겠다.
  • 팔로워 숙님은 

 

 

 

100여명이 넘는 팔로워 중에 유일한 트윗.. 감사.. ㅜㅜ' - 그리고, 여담으로 '여럿 관점에 따라서 다양한 이야기가 나올수 있다.'라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 고무줄 놀이는 여아라는 시점에서 이야기 나올법한 사례이다. 난, 댓글로 놀이를하는 여친의 고무줄을 끊고 도망다니는 남아의 시점을 추억으로 되살렸다.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남,녀 차이를 세세히 따져....복잡하다. ;    

  • 전봇대는 고달픈 직장생활에 술취한 직장인들의 속을 게어주는 간이 화장실 ( 전통적 전봇대는 '노상방뇨'라는 친자연적 생리현상을 해결하는 데 있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던 남성의 과도한 노출을 효과적으로 엄폐해줌으로써, 남성의 마지막 자존을 수호해 내는데 결정적 역할을 다했다. ((딴지일보 글 발췌)) )
  •  연애초 연인들의 첫키스가 이루어지는 낭만적인 장소.
  • '나몰라'하는 동네 주민들의 비양심이 모이는 간이 쓰레기장. 
  •  복분자와 전봇대는 무슨 관계?
  • 키 큰 사람을 빗댄 환유적 레토릭 혹은 이쑤시개에 대한 하이퍼볼 그러니까 과장어법으로 기꺼이 우정 출연한 시설물.
  • 배선공사시 특수등반조력장치
  • 광고채널의 효과 ( 전통적 전봇대는 공공광고 채널의 한 축을 담당했었다. 전봇대에 붙은 각종 전단지로부터 서민들은 땅투기 정보를 얻고, 어음을 할인받을 수 있었으며, 각종 밤업소 출연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그날그날 업데이트 되던 야간업소 광고지는 자라나는 유소년들에게, 이들이 곧 향유할 장미빛 미래의 비젼을 던져주던 고급 정보였더랬다. 아님 말구 ((딴지일보 발췌)) )

  • 놀이터로서의 역할   ((여기부터))

    80년대 놀이터가 잘 없던 시절, 아동들의 숨바꼭질 시 술래의 단골장소, 말타기 할 때 등을 기댈 수 있는 터전, 고무줄 놀이 시 한 축으로써의 역할 등, 전봇대는 놀이터로서의 역할도 유감없이 수행했다. 특히 멀리 달리고 난 뒤에 종착지에 왔다는 표시로 전봇대를 손바닥으로 쌔리던 (전문용어로 "쩐") 제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 전봇대는 그렇게 정감있던 시설물이었다.

  • 연탄재의 집결지로서의 역할

    전통적 전봇대 밑에는 어김없이 연탄재가 날렸을 만큼, 다 쓴 연탄 집결지로서의 역할을 전봇대는 묵묵히 수행해 내었다. 전봇대와 온기가 남아있는 연탄재가 혼연일체가 된 모습은 얼마나 인간적이었던가.

  • 정염의 눈길을 보내는 여배우의 드러난 흰 가슴엔 어김없이 담배불로 구멍 뚫린 극장 포스터가 덕지덕지 붙어 있고, 고 옆의 반쯤 찢겨진 카바레 전단지 위에는 붉은색 유성페인트로 큼지막한 가위 그림과 함께 '자른다'라는 경고문구가 쓰여져 있던 있던 전봇대.

    그러다가 마침내, 이에 아랑곳 않고 집 잃은 개새끼 한마리가 거기다 한 발 들고 평화롭게 쉬야를 볼 때, 우리가 바라마지 않는 전통적 전봇대는 완성된다. 

    그렇다. 전봇대는 전봇대다워야 한다.

  • 가로등 불빛 아래서 전봇대에 기대어 뽀뽀를 나누던 낭만도 기대할 수 없고, 전봇대를 축구골대로 활용하려다가 축구공만 뻥뻥 다 터지게 생겼으며, 숨바꼭질할 때 술래의 터전으로서의 운치는 다 잃어버렸고, 누가 누구를 좋아했네 등으로 대표되던 아동 연애사를 투박한 필치로 기록할 수 있었던 가장 만만한 장소로서의 역할도 기대할 수 없게 생겼다. <-- 여기까지((딴지일보 /2005.03.21. (화)/딴지부설 꽤가까운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에서 술탄 기자의 글 발췌))

  • 한전의 타 통신업체의 케이블 전봇대 이용료로 많은 수익을 얻는다고 함.

  • 위급한 상황에서 주변에 있는 전봇대에 적힌 숫자와 문자를 119에 불러주면 위치 추적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그림을 보시면 현 위치 주소인 '***** ***'을 119에 신고하면 됩니다. 무심코 지나쳤던 전봇대, 알고 보면 GPS나 다름없습니다.

  • 지역에서 전봇대의 관찰 --> 이곳

 

 전봇대의 모든 것
 

- 전봇대의 길이 : 대부분 14M ~ 20 M
- 전봇대의 형태 : 원통형 (태국에서는 단면이 사각임)
- 전봇대의 무게 : 대부분 500 Kg ~ 2,000 Kg
- 전봇대의 가격 : 200만원 ~ 250만원 (콘크리트 주일 경우임)
- 전국 전봇대의 갯수 : 6,875,448 개 (2002년 기준임)
- 서울 전봇대 갯수 : 196,617 개 (2002년 기준임)
- 전봇대가 가장 많은 지역 : 경기 - 1,021,584 개 (2002년 기준임)
- 전봇대가 가장 적은 지역 : 제주 -131,996 개 (2002년 기준임)
- 땅 속의 들어간 전봇대의 길이 :
  15 M 이하인 경우 길이의 1/6 매립
  15 M 이상인 경우 2.5M 이상 매립
- 전봇대의 종류별 개수
  콘크리트주: 6,777,258개
  강관주: 94,808개
  목주: 424개
  강관철주: 1,027개
  철주: 608개
  철탑: 1,323개

 

 

 

 

 

'::공공미술·벽화:: > 10' 인천 열우물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0) 2010.09.04
2차 현장방문  (0) 2010.08.25
전봇대 위 전단지에 대한 고찰  (0) 2010.08.17
다음주.  (0) 2010.08.14
지역작업 공통의제 생각해보기.  (0) 2010.08.06